[Linux #4] vi 에디터랑 nano 에디터 간단한 사용법
WSL이나 우분투 같은 리눅스 환경에서는 설정 파일(.bashrc, .vimrc, /etc/hosts, /etc/network/interfaces 등등)
을 수정하거나 확인할 때 vi나 nano 같은 에디터를 꼭 써야 할 때가 많다.
🖋️ vi (또는 vim)
모드 구분: 명령 모드, 입력 모드
처음엔 명령 모드로 시작
입력 모드로 전환
i : 현재 커서 위치에서 입력 시작
a : 커서 다음 위치부터 입력
o : 새로운 줄 만들어 입력
입력 모드 → 명령 모드로 돌아가기
Esc
저장 / 종료
:w : 저장
:q : 종료
:wq : 저장하고 종료
:q! : 저장 안 하고 강제 종료
기타 단축
dd : 현재 줄 삭제
yy : 현재 줄 복사
p : 붙여넣기
🖋️ nano
입력 모드 따로 없음. 바로 타이핑하면 됨!
저장 / 종료
Ctrl + O : 저장 (Write Out)
Enter : 파일 이름 확인하고 저장 완료
Ctrl + X : 종료
(수정한 파일이면 종료할 때 저장할지 물어봄)
기타 단축
Ctrl + K : 줄 삭제
Ctrl + U : 붙여넣기
Ctrl + G : 도움말 보기
파일 열기
vi 파일이름
nano 파일이름
특히 시스템 설정 파일 수정할 때는 sudo 권한도 필요함
sudo vi 파일이름
sudo nano 파일이름
수정하기
vi는 i 눌러서 입력 모드 → 수정
nano는 그냥 바로 수정 가능
저장하고 나오기
vi는 Esc → :wq
nano는 Ctrl + O → Enter → Ctrl + X
vi 쓰다가 실수로 파일 열어놓고 "어떻게 나가야 해??" 싶을 때, 기억 안 나면 무조건 Esc 누르고 :q! 하면 강제로 나올 수 있다.
중요한 설정파일 수정할 때는 수정 전 백업도 많이 한다.
예를 들면:
sudo cp /etc/hosts /etc/hosts.bak
이렇게 .bak 파일로 백업하고 수정하면 실수해도 복구 가능하다.